-
현재 전세보다 월세를 선택하는 무주택 청년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하지만 월세 주택이라도 보증금 500만 원~1,000만 원 이상은 기본 사회초년생이나 취준생에게는 큰 부담이 됩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가 저금리로 보증금을 지원해주는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 제도가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보증금 마련이 부담될 때 알아야 할 버팀목 대출 조건, 금리, 신청 방법까지 함께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이란?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은 국토교통부와 주택도시기금이 지원하는 서민 주거 안정 정책으로 무주택 청년, 사회초년생, 저소득 가구가 월세 계약 시 보증금 마련에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도와주는 대출 상품입니다. 특히 전세대출만 있는 줄 알았던 분들도 이제는 월세 계약 보증금도 최대 7천만 원까지 정부지원 대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2025년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 조건
항목 내용 신청 대상 무주택 세대주 (만 19세 이상) 소득 기준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맞벌이 6천만 원 이하) 임차 조건 보증금 1억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대출한도 최대 7천만 원 (보증금의 70% 이내) 대출금리 연 1.2% ~ 2.4% (소득·보증금에 따라 차등) 상환방식 2년 만기, 최장 10년까지 연장 가능 필수 조건 보증금은 임대인 계좌로 직접 송금되어야 함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 금리 예시 (2025년)
연 소득 구간 적용 금리 비고 2,000만 원 이하 연 1.2% 최저 금리 2,000만 ~ 4,000만 원 연 1.8% 중간 구간 4,000만 ~ 5,000만 원 연 2.4% 최고 금리 신청 방법 & 절차 (온라인/오프라인 모두 가능)
1. 준비 서류
- 확정일자 받은 임대차계약서
- 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 소득 확인서류 (근로소득 원천징수, 소득금액증명 등)
- 임대인 계좌 사본 (보증금 입금 확인용)
2. 신청 방법
✅ 오프라인
- 수탁은행 (우리, 신한, 기업, 농협 등 주택도시기금 취급은행) 창구 방문
✅ 온라인
- 주택도시기금 포털 접속
- 회원가입 →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 클릭
- 대상 조건 확인 → 주택 정보 입력 → 서류 제출 → 승인 후 은행 방문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 실사용 후기
- 청년 직장인 A씨
“보증금 1,000만 원이 부담됐는데, 대출 덕분에 부담 없이 계약했어요.
월세는 스스로 내고 보증금은 정부가 도와주는 느낌!” - 사회초년생 B씨
“전세대출만 있는 줄 알았는데 월세도 대출 가능하다는 걸 처음 알았어요.
연 1.2%라서 이자 부담도 거의 없어요.”
유의사항 꼭 확인하세요!
- 확정일자 필수! 전입 신고 + 확정일자 없으면 대출 불가
- 보증금은 임대인 계좌로 직접 송금 → 임차인 계좌 수령 불가
- 계약 종료 전 중도상환 가능 → 수수료 없음
- 계약 연장 시 재신청 가능 → 최장 10년까지 지원 연장 가능
마무리
버팀목 월세 보증금 대출은 보증금 마련이 어려운 사회초년생, 청년, 저소득 가구에게 저금리로 안정적인 월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실질적인 대출 상품입니다. 2025년 현재 기준으로 조건이 완화되고 온라인 신청도 쉬워졌기 때문에
보증금 걱정 있는 분들이라면 반드시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